고유종

고유종 смотреть последние обновления за сегодня на .

우리나라 고유종 '고리도롱뇽' 유생 집단 폐사

7460
329
21
00:00:23
19.06.2022

한국토지주택공사가 경남 양산과 부산 사시에 조성하고 있는 ‘사송주택개발지구’의 임시서식처에서 지난 6월 16일 고리도롱뇽 유생이 집단 폐사했다. ‘사송 고리도롱뇽 서식처보전 시민대책위원회’는 “고리도롱뇽 서식처 무단 매립과 수질오염으로 인한 폐사 관련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시민대책위는 “상류지역 아파트 공사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절개면 복구를 위한 ‘풀씨 뿌리기 작업’에 사용된 퇴비에서 발생된 침출수로 임시서식처 수질오염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시민대책위는 한국토지주택공사에 대해 “아파트 단지를 가로지르는 외송천을 고리도룡뇽 서식이 가능하도록 복원하라”, “고리도룡뇽 장기서식처 복원에 책임을 다하라”, “고리도룡뇽 모니터링과 구조활동에 책임을 다하라”고 촉구했다. 우리나라 고유종인 고리도롱뇽은 2017년부터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으로 지정?보호되고 있으며, 양산 천성산, 금정산 일대에 서식하다 매년 봄 습지가 있는 양산시 동면 사송리 일대로 내려와 산란을 한 후 다시 산으로 올라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영상 - 사공혜선

일본 고유종 '섬진달래' 국내 자생 첫 확인 [대전충남]

165
2
0
00:00:25
28.04.2015

일본 고유종 '섬진달래' 국내 자생 첫 확인 [대전충남] [지방시대] 일본에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섬진달래'가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것이 처음으로 확인됐습니다.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일본 보호식물로 지정된 '섬진달래' 수백 그루가 남해안 도서 지역에서 발견됐다고 밝혔습니다. 섬진달래는 우리나라에 널리 분포하는 진달래와 달리 꽃눈에서 여러 개의 꽃이 함께 모여 나는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국립수목원은 섬진달래를 전문학술지에 게재해 한반도에 분포하는 생물종으로 확정하는 동시에 자생지 정밀 조사를 통해 개체 보존을 위한 대책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혹시 의붓아들도? 고유정 사건 정리 | 어제 그알

412543
2901
428
00:03:56
30.07.2019

그것이 알고싶다 1178회 (2019.7.27 방송) 아내의 비밀과 거짓말 -고유정은 왜 살인범이 되었나? 연출 : 임기현 / 작가 : 신진주 풀영상 다시보기 ▶ 그알 홈페이지 : 🤍 ▶ 웨이브(wavve) : 🤍

[영상 입수] 고유정 체포 순간 "왜요? 제가 당했는데…" / SBS

3742531
17132
3544
00:01:43
27.07.2019

전 남편을 살해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고유정이 처음 경찰에 체포되던 장면을 저희 SBS '그것이 알고싶다' 팀이 입수했습니다. 본인은 죄가 없다는 식의 표정과 말이 눈에 띄는데 계산된 행동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정준호 기자입니다. 원문 기사 더보기 🤍 #SBS뉴스 #SBSNEWS #SBS_NEWS #에스비에스뉴스 #8뉴스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 ▶SBS 뉴스 라이브 : 🤍 , 🤍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인스타그램: 🤍

아니 이게 이름이라고?😵 재미있는 이름을 가진 우리나라 고유종 #shorts

5610
90
3
00:01:00
23.08.2023

우리나라에서만 사는 생물 고유종!🦗 그중 특이한 이름들을 가진 생물들이 있다는데 한번 보면 잊을 수가 없는 그 이름! 다 같이 한번 알아볼까요?🙋‍♂️ #국립생물자원관 #생물 #다양성 #고유종 #똥풍뎅이 #노루오줌 #요강나물 #돌마자 #친구머리파리 #재미있는 #이름

“왕벚나무는 제주 고유종” vs “1개체는 일본종” / KBS 2022.04.07.

5060
51
64
00:02:40
06.04.2022

요즘 벚꽃으로 전국 곳곳이 장관을 이루고 있죠? 주요 벚꽃 명소에서 볼 수 있는 왕벚나무의 원산지가 일본으로 알려져 있는데, 사실과 다르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신익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왕벚나무가 길게 이어지면서 벚꽃 터널을 이루고 있는 제주시 전농로. 대부분의 관람객은 왕벚나무의 원산지가 일본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임현우/서울시 강동구 : "일본으로 알고 있어요. 일본에서 넘어왔다. 식민지 시절 때 다 심은 거라고만 들었어요."] 그러나 왕벚나무 자생지는 지금까지 일본에서 발견된 적은 없습니다. 이곳은 한라산 중산간에 있는 왕벚나무 자생지입니다. 이 같은 왕벚나무 자생지는 한라산에만 235곳이 있습니다. 국립수목원은 2018년 이 한라산 자생 왕벚나무 가운데 5그루를 대상으로 유전체를 분석한 결과 4그루를 고유한 제주왕벚나무로 판단했습니다. 다만 나머지 1그루는 일본 도쿄에 있는 왕벚나무와 유전형이 같다고 발표했습니다. 후속 조치로 2년 뒤엔 국가표준식물 목록을 발표하면서 왕벚나무를 자생식물편에서 삭제하고, 재배식물편에 넣었습니다. 이런 국가기관의 발표는. 국내에 심은 왕벚나무 대부분이 일본산이어서 제주산으로 교체하자는 주장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국립수목원에서 일본산이라고 규정한 이른바 '소메이요시 벚나무'조차도 자생지는 한국이라는 지적도 일고있습니다. [김찬수/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장 : "일본에서 인위적으로 잡종을 만든 나무라는 것을 전제로 지금 주장을 펼치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근거가 기록이든 현재 어떤 물건이든 아무것도 없습니다."] 국립수목원은 공신력 있는 연구를 통해 한라산 왕벚나무 1그루가 일본 고이시카와식물원에 있는 공시목과 비슷하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혀, 왕벚나무 원산지를 둘러싼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KBS 뉴스 신익환입니다. 촬영기자:신비오 ▣ KBS 기사 원문보기 : 🤍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 ◇ 이메일 : kbs1234🤍kbs.co.kr #벚꽃 #왕벚나무 #원산지

[생태지식영상NIE] 우리나라 고유종 구상나무의 죽음

1310
27
1
00:04:14
15.03.2021

#구상나무 #크리스마스트리 #아고산지대 크리스마스트리 나무로 유명한 구상나무가 우리나라에서만 자생하고 있는 고유종이라는 사실을 아시나요? 국립생태원 야외식물부 서동진 과장님과 함께 구상나무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국립생태원 홈페이지 🤍 국립생태원 블로그 🤍 국립생태원 페이스북 🤍 국립생태원 인스타그램 🤍

[엠뚜루마뚜루] 전 남편 살인사건, 고유정의 두 얼굴 #엠뚜루마뚜루 #엠트루​ ​MBC190710방송

2024845
12221
1864
00:33:47
29.07.2021

✔MBC [실화탐사대]는 토요일 밤8시50분 방송됩니다!! ✔본방을 다시보고 싶다면? - WAVVE ▶▶ 🤍 - iMBC ▶▶ 🤍 MBC의 따끈따끈한 영상을 내 맘대로 편하게 즐기는 채널🌀 엠뚜루마뚜루 구독하기👉 🤍 #엠뚜루마뚜루​ #엠트루​ #실화탐사대​

[D:이슈] 크리스마스 트리, 우리나라 고유종?…정작 한국서는 '멸종 위기' / JTBC 뉴스룸

2024
27
3
00:01:39
08.05.2023

유럽과 미국에서 크리스마스 트리로 많이 쓰이는 나무가 우리 고유종이라는 거 아셨나요. 한라산과 지리산 고산지에서 자라는 '구상나무'입니다. 우리도 모르는 사이 세계적으로 유명해졌고, 돌보지 않는 사이 멸종 직전까지 내몰렸습니다. 모바일 D:이슈 시작합니다. ▶ 기사 전문 🤍 ▶ 시리즈 더 보기 🤍 #크리스마스트리 #구상나무 #멸종위기 #JTBC뉴스룸 #디이슈 #최승훈기자 본방 후 유튜브에서 앵커들과 더 가까이! ☞JTBC 모바일라이브 시청하기 🤍 ☞JTBC뉴스레터 구독하기 (🤍 ☞JTBC유튜브 구독하기 (🤍 ☞JTBC유튜브 커뮤니티 (🤍 #JTBC뉴스 공식 페이지 (홈페이지) 🤍 (APP)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 제보하기 🤍 방송사 : JTBC (🤍)

"니가 사람이냐"…머리채 잡힌 고유정 / 연합뉴스 (Yonhapnews)

2041763
9408
3629
00:01:29
12.08.2019

#머리채_잡힌 #고유정 #분노 (서울=연합뉴스) 전 남편을 살해한 혐의로 구속기소 된 고유정(36)이 분노한 시민에게 머리채를 잡혔습니다. 12일 오전 제주지방법원에서 첫 정식 공판을 마친 고씨는 법정에 들어갈 때와 마찬가지로 머리카락을 풀어헤쳐 얼굴을 가린 채 호송차로 이동했는데요. 고씨가 모습을 드러내자 출입구 앞에서 기다리던 시민 한 명이 고씨의 머리채를 잡아당겼고 이어 주변에 있던 시민 2∼3명도 고씨를 향해 달려들면서 현장은 순간 아수라장이 됐습니다. 고씨는 지난 6월 5일 신상정보 공개 결정이 내려진 뒤로도 계속해서 머리카락으로 얼굴을 가리는 등 노출을 꺼리고 있는데요. 영상으로 보시죠. (편집 : 김해연, 영상 : 연합뉴스TV) ◆ 연합뉴스 홈페이지→ 🤍 ◆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 🤍 ◆ 오늘의 핫뉴스 → 🤍 ◆ 현장영상 → 🤍 ◆ 카드뉴스 →🤍 ◆연합뉴스 공식 SNS◆ ◇페이스북→ 🤍 ▣ 연합뉴스 유튜브 채널 구독 : 🤍 ▣ 연합뉴스 인스타 : 🤍

'한국 고유종' 구상 나무, 매년 1천 그루씩 죽어간다 / SBS

401
3
1
00:01:59
21.10.2019

우리나라 고유종인 구상나무가 지리산에서 매년 1천 그루씩 말라 죽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기후변화로 인해 수분이 충분히 공급되지 않으면서 최근 10년 사이 피해가 크게 늘었습니다. 이용식 기자입니다. 원문 기사 더보기 🤍 #SBS뉴스 #SBSNEWS #SBS_NEWS #에스비에스뉴스 #8뉴스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 ▶SBS 뉴스 라이브 : 🤍 , 🤍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인스타그램: 🤍

[랜선과학관] 우리나라 고유종 미선나무를 소개합니다

143
6
0
00:01:51
06.11.2022

안녕하세요~! 여러분. 아직 봄은 멀었지만(이제 겨울의 시작이지만...) 예쁜 꽃을 피우는 우리나라 고유종 식물 미선나무에 대해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미선나무는 국립중앙과학관의 생물탐구관 자연생태학습원과 자연사관에서도 만나볼 수 있다고 하는데요? 과연 어떤 식물인지 영상을 통해 확인하시고 미선나무의 꽃말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처럼 시청해주시는 분들 모두 기쁘고 행복한 일만 가득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출처 00:18~00:52 본 저작물은 '국립공원공단'에서 2017년~2019년까지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사진자료(작성자 : 속리산국립공원사무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국립공원공단, 🤍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 이외 모든 영상과 사진자료는 직접 촬영하였습니다. #과학관 #미선나무 #랜선과학관 #자연사관 #생물탐구관

방송에 차마 담을 수 없었던 고유정 사건 취재 뒷이야기 | 그알 비하인드

2526290
19585
2573
00:10:55
31.07.2019

전국을 발칵 뒤집어 놓은 엽기적인 범행의 주인공, 고유정 그것이알고싶다 담당PD가 고유정 취재 뒷이야기를 들려준다. 방송을 아직 안 봤다면 '어제 그알'부터 보고 오자! ▶ 🤍

[제주 연안 생물종이 바뀐다] 2. 제주 고유종 '닭새우'도 진화 / JIBS / 제주 / 2023.05.31

2044
15
9
00:02:30
31.05.2023

(앵커) JIBS 창사 기획 두번째 시간입니다. 어제(30) 이 시간을 통해 제주에서 머드크랩으로 불리는 톱날꽃게가 처음으로 발견됐다는 소식 전해드렸습니다. 톱날꽃게 외에도, 고유종 닭새우가 진화하거나 새로운 종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김동은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날이 저문 서귀포시의 한 방파제 인근 해안가입니다. 불빛을 켠 다이버들이 바다 속으로 잠수합니다. 수심 10미터 가량되는 바닷 속. 바위 밑에서 생소한 생물이 발견됩니다. 불빛이 생소한 듯 경계를 늦추지 않습니다. 머리가 닭벼슬처럼 생겼다고 이름 붙여진 닭새우입니다. 제주 연안에 수심 5에서 20미터 이내에 주로 서식합니다. 조영현 / 제주대학교 체육진흥센터 특별연구원 "어두운 곳에서 서식하고 있고 모래나 암반이 있는 곳을 주로 왔다 갔다 하면서 그런 형태의 서식 환경을 보이는 것 같습니다" 김동은 기자 "닭새우는 이처럼 주로 야간에만 확인이 가능한데, 최근 제주 연안에서 새로운 종들이 잇따라 발견되고 있습니다" 최근 제주 연안 닭새우 서식 실태를 조사하던 중 흥미로운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제주에서 서식하던 닭새우가 아닌 제주 환경에 맞게 진화한 종이 처음 확인된 겁니다. 복부 체절 부분이 기존 개체와 형태가 완전히 달라, 신종으로 분류됐습니다. 또 인도네시아 열대 해역에서 서식하는 국내 미기록종도 2종이 추가로 확인됐습니다. 열대 해역 닭새우의 서식 한계선이 제주까지 확장됐다는 얘깁니다. 태풍 등의 영향으로 해류를 탔거나, 해파리를 타고 제주로 유입돼 정착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허성표 / 제주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교수 "동남아 지역에서 발견되는 개체들이 처음 제주에서 2종이 발견됐습니다. 그리고 1종 같은 경우에도 진화를 거쳐서 형태적으로 변형이 된 신종이 새롭게 추가로 발견됐습니다" 게다가 갑각류의 경우, 상대적으로 환경 변화에 빠르게 진화화는 만큼, 제주에서 추가 변종이 나올 가능성도 높습니다. 무관심한 사이, 제주 연안의 갑각류 서식 실태가 크게 변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연구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입니다. JIBS 김동은입니다. 영상취재 윤인수 #제주도#닭새우#국내미기록종#신종#뉴스#제주뉴스 ▶ JIBS 뉴스 제보하기 JIBS 뉴스는 시청자의 성숙한 시민의식과 신고의식에서 출발합니다.주변에서 발견되는 일상의 소소한 이야기부터 큰 사건·사고까지 영상에 담아서 보내주세요.여러분의 소중한 제보가 뉴스에 큰 힘이 됩니다.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홈페이지 : 🤍 - 카카오톡 : 'JIBS제주방송' 검색 → 채팅하기- 페이스북 : 'JIBS뉴스' 검색 → 메시지 보내기 - 이메일 : jibsnews🤍jibs.co.kr- 전화 : 064-740-7890 ▶ JIBS 뉴스/제주방송 채널 구독하기 : 🤍 ▸ 구독하기(무료) 🤍 ▸ 홈페이지 🤍 ▸ 페이스북 🤍 ▸ JIBS 엔터테인먼트 🤍 ▸ JIBS 뉴스 🤍 ▸ 힐링 아일랜드 🤍 ▸ 비즈니스 문의 jibsplus2🤍jibs.co.kr ※ 저작권 공지 (Copyright) - 불법 다운로드 및 상업적 사용을 금지합니다.

[자막뉴스] 고유정에 '사형' 구형된 순간... / YTN

3416844
12083
3125
00:01:45
20.01.2020

검찰, 고유정에게 법정 최고형 '사형' 구형 '수면제 성분·의붓아들 부검 결과', 결정적 증거 "극단적 인명 경시에서 비롯된 계획적 살인" 변호인, 방어권 주장하며 기일 변경 요청 "피고인 고유정에게 '사형'을 선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검찰은 20여 분간 진행된 최종 의견에서 왜 고유정이 범인일 수밖에 없는지 조목조목 논리를 펼쳤습니다. 고 씨가 아들 앞에서 아빠를, 아빠 앞에서 아들을 잔혹하게 살해하는 반인륜적 범행을 수차례 저질렀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전 남편인 피해자 혈흔에서 수면제 성분인 졸피뎀이 검출됐고, 의붓아들이 누군가에 의해 고의로 살해됐다는 부검 결과를 사건의 결정적 증거로 제시했습니다. 두 건의 살인은 극단적인 인명 경시에서 비롯된 계획적 살인이 명백하다며 '사형' 구형이유를 밝혔습니다. 살해된 피해자들의 얘기가 나올 때 유가족들은 오열했고 검사도 목이 메 잠시 말을 잇지 못하기도 했습니다. 검찰 구형에 유가족들은 당연하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고유정 변호인은 최후 변론 대신 피고인 방어권이 보장돼야 한다며 재판 일정 연기를 요청했습니다. 고유정도 이미 알고 있었던 듯 최후 변론을 준비하지 않은 모습이었습니다. 유족은 재판을 연기해 달라는 변호인의 주장을 이해할 수 없다며 강한 불만을 드러냈습니다. 애초 이번 공판을 선고 전 마지막 결심 공판으로 하려던 재판 일정도 변호인의 요청에 따라 변경됐습니다. 재판부는 피고인 방어권을 위해 기일연장을 해달라는 변호인의 주장을 받아들여 다음 달 최후변론과 최후 진술을 듣는 재판을 한 번 더 열 예정입니다. 취재기자 : 고재형 촬영기자 : 정두운 그래픽 : 이은지 ▶ 기사 원문 :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 YTN &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고유정 첫 재판 '피해자 탓'…분노한 시민 '머리채' 소동 / SBS

441638
1567
652
00:01:53
12.08.2019

전 남편을 숨지게 하고 시신을 유기한 혐의로 구속 기소된 고유정이 오늘(12일) 첫 재판에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고유정 측은 피해자 탓을 하며 계획된 살인이 아니라고 주장했는데 법원을 벗어나면서 시민들에게 머리채를 잡히기도 했습니다. JIBS 하창훈 기자입니다. 원문 기사 더보기 🤍 #SBS뉴스 #SBSNEWS #SBS_NEWS #에스비에스뉴스 #8뉴스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 ▶SBS 뉴스 라이브 : 🤍 , 🤍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인스타그램: 🤍

한강에서 사는 한국고유종 물고기? 2가지만 알고가자!!

167
6
1
00:03:16
07.01.2021

한강에 살고 있는 다양한 물고기 그 중 꼭 알아야 할 2가지 한국고유종 민물고기는? 매주 2가지만 알아가도 한강 마스터 가능!!! 새코미꾸리와 퉁가리에 대해 알아보자

우리나라 고유종, 꼬치동자개의 방류 [#핫클립] / YTN 사이언스

616
10
0
00:03:29
01.11.2021

우리나라 고유종 꼬치동자개는 멸종 위기종으로 국립생태원에서는 이를 인공적으로 증식시켜 경상북도 영천시에 있는 자호천에 방류한다. 실험실에서 자란 꼬치동자개를 어떻게 자연에 방류하는지 알아본다. ▶full영상: 🤍 #꼬치동자개 #멸종위기종 #자연방류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

[국립생태원] 멸종 위기에 처한 한반도 고유종 구상나무

1194
20
3
00:06:08
18.11.2020

#구상나무 #멸종위기 #크리스마스트리 국립생태원 홈페이지 🤍 국립생태원 블로그 🤍 국립생태원 페이스북 🤍 국립생태원 인스타그램 🤍

우리나라 고유종 '꼬치동자개'의 인공 증식 [#핫클립] / YTN 사이언스

1931
40
0
00:03:55
29.10.2021

꼬치동자개는 우리나라에서만 서식하는 고유종으로 하천에서 볼 수 있었는데 무분별한 하천공사와 수질오염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있다고 한다. 그런데 최근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에서 인공적으로 이 꼬치동자개를 번식하고 있다고... ▶full영상: 🤍 #꼬치동자개 #고유종 #멸종위기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

우리나라 고유종 꼬치동자개 연애보고서^^

542
11
1
00:02:01
14.09.2020

국립수산과학원 내수면양식연구센터에서 보내온 우리나라 고유종 꼬치동자개 산란 영상입니다. 꼬치동자개는 낙동강에만 분포하고, 하천 중상류의 물이 맑고 큰 돌이나 자갈이 쌓인 유속이 느린 지역에 서식하는 우리나라 고유종으로 멸종 위기 야생생물 Ⅰ급에 속합니다. 몸은 황갈색으로 등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 등의 부근에 노란색 줄무늬가 있으며, 비늘이 없고 입 주변에 4쌍의 수염이 있습니다. 주로 깔따구류, 날도래류, 하루살이류를 섭식하며 산란은 5월~7월입니다. 꼬치동자개의 산란행동은 특이한데, 먼저 수컷이 돌 밑을 청소하고 지키고 있다가, 밤에 암컷이 근처로 오면 수컷이 암컷의 꼬리지느러미를 잡기 위해 암컷 주위를 빙글빙글 돌고, 마지막 산란이 이루어지기 전에 수컷은 암컷의 몸을 감싸듯이 말고 암컷이 산란합니다. 알은 돌에 잘 붙으며 물풀에다 알을 낳기도 하는데 수컷이 산란장에 남아서 알을 지킵니다. 국립수산과학원 내수면양식연구센터에서는 꼬치동자개를 지켜 나가기 위해 종보존(인공종자생산 및 자치어사육관리)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국립수산과학원 #수산과학원 #수과원 #내수면양식연구센터 #내수면_양식 #우리_나라_고유종 #담수_어종 #멸종_위기_생물 #꼬치동자개 #우리_멸종_위기_어종_지켜나가요 #수산양식 #종_보존 #인공_종자_생산 #어종_관리 #재미_산란_영상

[전국다큐자랑] 사라져 가는 반딧불이. 운문산에서 처음 발견된 고유종 운문산 반딧불이와 금강의 자연 생태계 [대전총국 다큐 - 별 내린 숲] (KBS 20210720 방송)

10870
229
9
00:49:28
04.03.2023

※ 이 영상은 2021년 7월 20일에 방영된 [별 내린 숲] 입니다. 창사 50주년 기념 전국 다큐 자랑 ■ 인간이 불을 발견하기 훨씬 전, 지상에서 최초의 빛을 냈던 주인공 반딧불이. 지구상에서 유일하게 형광빛을 내는 반딧불이는 1급수의 물이 있는 계곡에서만 서식하기 때문에 ‘청정자연의 지표’인 생물이다. 하지만 최근 개발로 인한 환경 파괴, 인공조명의 확산 등으로 반딧불이가 사라져가고 있다. 인간이 불을 발견하기 훨씬 전, 지상에서 최초의 빛을 냈던 주인공 반딧불이. 지구상에서 유일하게 형광빛을 내는 반딧불이는 1급수의 물이 있는 계곡에서만 서식하기 때문에 ‘청정자연의 지표’인 생물이다. 하지만 최근 개발로 인한 환경 파괴, 인공조명의 확산 등으로 반딧불이가 사라져가고 있다. #반딧불이 #운문산 #금강

왕벚나무 우리나라 고유종 주장

18
1
2
00:00:37
06.04.2022

제주MBC 공식 유튜브 채널입니다. 계정 메시지나 댓글로 제보주세요. 제주MBC웹사이트 : 🤍 페이스북 : 🤍facebook.com/jejumbcnews 제보시스템 : mbcjebo.com/?c=jeju 제보전화 : 064-740-2000 카카오톡 제보 : 제주MBC

멸종위기 고유종 '금개구리' 대량 방사 / YTN

8764
69
37
00:01:54
18.08.2019

[앵커] 금개구리는 과거 논이나 농수로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우리 고유종입니다. 지금은 개체 수가 크게 줄어 멸종위기 2급으로 지정됐는데 인공증식에 성공해 대량 방사됩니다. 황선욱 기자입니다. [기자] 밝은 녹색의 등 양쪽에 금색 두 줄이 나 있는 금개구리입니다. 예전에는 우리나라 서해안 논과 도랑, 연못 등에서 쉽게 볼 수 있었던 토종 개구리입니다. 하지만 농약 사용 등으로 서식환경이 파괴되면서 지금은 멸종위기종 2급으로 지정될 정도로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이정현 /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책임 연구원 : 금개구리는 이동성이 매우 적고 행동권 면적이 좁기 때문에 서식지 교란이나 훼손에 매우 취약한 것이 또 하나의 특징입니다.] 이번에 국립생태원 수생식물원에 방사하는 금개구리는 2백 마리입니다. 지난해 9월 충남 아산에서 포획한 20마리를 인공 증식한 것으로 부화한 지 넉 달 지난 준성체입니다. [이배근 /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실장 : 생존율, 성장률, 위협 요인들을 연구해서 이런 연구활동들은 금개구리 복원에 중요한 가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금개구리가 방사되는 수생식물원은 애기부들, 갈대 등 수생식물과 먹잇감인 작은 곤충이 풍부해 최상의 서식지입니다. 멸종위기종복원센터는 2백 마리를 시작으로 일주일 간격으로 3차례 모두 6백 마리를 방사할 예정입니다. 방사 후 3년간 개체 이동과 서식지 확산 등을 연구하고 위협요인인 황소개구리 제거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종복원센터는 금개구리에 이어 반달가슴곰과 산양 등 우선 복원 대상 25종에 대한 증식 복원 연구도 본격화할 계획입니다. YTN 황선욱입니다. ▶ 기사 원문 :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 YTN &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녹색의 꿈] - 우리나라 고유종 미선나무 / YTN DMB

770
13
0
00:31:13
05.06.2017

우리나라에만 자생하는 일속 일종의 나무, 미선나무! 사람들의 발길을 사로잡는 은은한 향과 꽃의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나무 자체가 가진 다양한 효능으로 그 가치는 뛰어나다는데.. 오랜 세월 우리 곁에 있었지만, 미처 알아보지 못했던 미선나무의 가치를 살펴보자. [YTN DMB 기사원문] 🤍

생태특집 4화. 생태계보전과 생물다양성의 주적, 침입외래종!

4376
143
89
00:04:15
28.02.2022

#생태계보전 #생물다양성 #침입외래종 ♥♥♥♥이벤트 링크 - 참여기간: ~22.03.03♥♥♥♥ 🤍 ☑출처 🤍 IPBES (2019): Summary for policymakers of the global assessment report on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of the Intergovernmental Science-Policy Platform on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S. Díaz, J. Settele, E. S. Brondízio, H. T. Ngo, M. Guèze, J. Agard, A. Arneth, P. Balvanera, K. A. Brauman, S. H. M. Butchart, K. M. A. Chan, L. A. Garibaldi, K. Ichii, J. Liu, S. M. Subramanian, G. F. Midgley, P. Miloslavich, Z. Molnár, D. Obura, A. Pfaff, S. Polasky, A. Purvis, J. Razzaque, B. Reyers, R. Roy Chowdhury, Y. J. Shin, I. J. Visseren-Hamakers, K. J. Willis, and C. N. Zayas (eds.). IPBES secretariat, Bonn, Germany. 56 pages. 🤍 환경부(2014) 외래생물 유입에 따른 생태계 보호 대책 🤍 GEO BON(2015) An Essential Biodiversity Variable Approach to Monitoring Biological Invasions: Guide for Countries.🤍 환경부 카드뉴스 (2018) 🤍 환경부 (2021) 🤍 생물다양성법 제24조 🤍 사업: 생물다양성협약 대응 전문인력 양성 콘텐츠 개발 및 운영(2차년도) 주최: 국립생물자원관 / 주관: 케이잡스 만든이: 이지형 신원협 김미현 김현정 임하율 김도희 원서현 윤지원 문의: yjy623🤍kjobs.co.kr

우리나라 고유종 미선나무 / YTN 사이언스

23912
218
11
00:38:16
23.05.2017

우리나라에만 자생하는 일속 일종의 나무, 미선나무! 사람들의 발길을 사로잡는 은은한 향과 꽃의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나무 자체가 가진 다양한 효능으로 그 가치는 뛰어나다는데.. 오랜 세월 우리 곁에 있었지만, 미처 알아보지 못했던 미선나무의 가치를 살펴보자.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

#firefly KBS Special Documentary 'The Starry forest' / KBS대전 20210720 방송

2678
47
2
00:49:31
01.09.2021

Fireflies, the only creatures on earth that display fluorescent lights, only live in valleys with 1st class pure water and are therefore called 'pure nature indicating creatures.' However, fireflies are becoming extinct due to recent environmental destructions, the widespread of artificial lights, and etc. By focusing on the various creatures that spend the four seasons along the stream of Geum river, located in Jaewon township Geumsan South Choongcheong province, where primitive nature is still well preserved and by capturing the twinkling and the ecology of the Unmunsan fireflies, the Luciola lateralis, and the Lychnuris rufas in high definition images, this documentary seeks to ruminate on the value of fireflies as precious resources for the future. #fireflies #nature #ecosystem #Documentary #extinction #endangered #Lampyridae #Aquaticalateralis #lutralutra #Eurasianotter KBS대전 20210720 방송 KBS대전 🤍 KBS대.세.남 뉴스 🤍 KBS대.세.남 c&d 🤍 KBS대.세.남 e&m 🤍

[ASMR] 🐸수원청개구리는 개굴개굴 울까? #우리나라고유종

1716
21
2
00:00:48
27.04.2021

#ASMR #수원청개구리 수원청개구리는 청개구리와 비슷하지만 다른, 수원에서 발견된 우리나라 고유종입니다. 과연 #개굴개굴 울까요? 🎧지금 들어보세요 #국립생물자원관 #청개구리 #개구리 #개구리울음소리 #동물백과 #동물사전 #생물사전 #고유생물시리즈

광릉숲에만 사는 한국고유종! 특유의 소리를 들어봐!_에그박사

17286
119
19
00:03:57
28.12.2017

오늘 에그박사가 사슴벌레붙이를 만나볼꺼에요!

[SNUE-A061] #한국황슭감탕벌 #고유종 날개는 투명, 흑갈색을 띔 #나방류 애벌레에 산란. 배에 #황색 띠 #야생벌 #감탕벌 #shorts #생태감수성 #벌 #서울교대

565
50
20
00:01:00
11.04.2023

한국황슭감탕벌의 학명은 Anterhynchium flavomarginatum koreanum 이다. korean 가 들어 있어서 우리나라 고유종이다. 몸길이는 17mm 정도, 날개 편 길이는 32mm 정도이다. 감탕의 의미는 질펀한 진흙을 의미한다. 산란방 마무리로 진흙을 사용하기 때문에 생긴 이름으로 생각할 수 있다. 몸은 검고, 머리와 가슴에 점각이 빽빽하다. 머리방패는 노랗고, 앞가슴에 노란 무늬가 조금 있고, 배 1, 2마디 뒷슭이 노랗다. 날개는 흑갈색을 머금으나 투명한 편이다. 더듬이와 다리는 검다. 문헌에는 매우 드문 종으로 기록되어 있어 서울교대에서 발견된 것은 천적곤충으로도 중요하고, 학술적 가치 등도 크다.

과수화상병 상처, 고유종 '다래'로 극복ㅣMBC충북NEWS

635
4
0
00:02:23
09.04.2021

과수화상병 피해지역 농가들이 새로운 대체 작목으로 우리 고유종인 '다래'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사과와 복숭아나무를 베어낸 자리에 다래를 심기 시작했는데, 지역 대표 과일의 자리까지 도전하고 있습니다. 허지희 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대추 모양의 초록빛 열매, 중국이 고향인 '키위'처럼 생겼지만, 키위가 아닌 우리나라 고유종인 '다래'입니다. 창녕궁에 600년 생 나무가 있을 정도로 오래된 민속 과일로,고려가요 청산별곡에도 산천을 풍요롭게 한 먹거리로 등장합니다. 맛과 모양은 키위와 비슷하지만, 크기는 작고 껍질째 먹을 수 있는 데다, 당도도 최대 24브릭스, 키위보다 훨씬 높습니다. 과수화상병 피해로 사과나 복숭아 같은 나무를 키울 수 없게 된 충주 지역 농민들이 새롭게 선택한 소득 작물 입니다. 지난해 과수 화상병 피해로 사과나무 2천 그루를 뽑아낸 과수원도 다래를 키우기 위한 준비를 마쳤습니다. 홍재성/다래 재배 농가 "다시 사과와 복숭아를 하려면 기간이 6~7년 되어야지 다시 수확을 할 수 있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바로 재배할 수 있는 다래를 선택했습니다. 재배 방법이 쉽고 노동력도 덜 들어 진입 장벽도 높지 않습니다. 어한우/다래 재배 농가 그냥 1년에 2번이나 3~4번 해주면 된다고 그래요. 그러면 소독하는 절감도 그렇고, 또 전지하는 것도 그렇게 힘들지도 않고" 하지만, 보관 기간이 짧아 후숙 과정에서 모양이 변하고, 무엇보다 판로도 충분하지 않아 재배된 지 15년이 넘도록 아직 국내 재배 면적은 70ha 수준에 머물러 있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충주에서는 가장 대중화된 3가지 품종만 집중적으로 재배해 규모를 100ha까지 늘리고 가공까지 동시에 하겠다는 구상입니다. 유재원/천지인다래작목반장 가공 상품을 만들고 또한 유통도 저희가 책임지고 전국에 유통할 수 있는 또한 해외에 수출까지 할 수 있는 그런 포부를 갖고 있습니다 과수화상병으로 송두리째 나무가 뽑힌 과수 농가만 도내 400여 곳. 우리 고유종 '다래'가 그 공백을 채울 지역 대표 과일의 자리에 도전장을 냈습니다. mbc 뉴스 허지희입니다.

토종은... 외래종을 찢어...! 황소개구리, 뉴트리아 씹어먹는 한국 토종 동물 / 스브스뉴스

3593633
39853
4403
00:04:53
08.11.2021

세계 각지에서 물건너 들어와 우리나라 생태계를 휘젓고 다니던 공포의 외래종들. 그런데 악명 자자한 외래종들을 벌벌 떨게 만든 이가 있다...? 이들의 정체는 바로 토.종.생.물 입니다! 삵, 왜가리, 가물치부터 족제비, 메기까지... 이 토종들이 외래종의 기강을 잡은 비결이 궁금하다면? 자세한 내용은 영상으로 확인하세요. ✔ 뉴스에는 위아래가 없다, 스브스뉴스 - 스브스뉴스 링크 - Facebook : 🤍 Instagram : 🤍 홈페이지 : 🤍 #토종 #외래종 #생태계

별이 된 ‘반딧불이’ 여름밤 빛의 대향연 [2021-2022 UHD환경스페셜 18편 별이 내린 숲] / KBS 20210722 방송

5310
91
5
00:50:21
30.11.2022

▶ -매년 봐도 그냥 좋아. 반딧불이를 보고 있으면 모든 잡념도 잊어버리고. -짝짓기 식으로 막 쫓아다니잖아요. 아, 우리도 저랬는데... ▶ 금강의 큰 물줄기를 품은 고장, 충남 금산군. 매년 5월 말, 숲에 밤이 찾아들면 은밀하고도 분주한 움직임이 시작된다. 어둠을 가르는 불빛들의 향연이 펼쳐지는 것, 주인공은 바로 운문산 반딧불이다. 1930년대, 경북 청도 운문산에서 처음 발견돼 이름 붙여진 우리나라 고유종으로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반딧불이 중 가장 밝은 빛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컷을 하늘을 날며 암컷을 찾고, 날개가 퇴화해 날지 못하는 암컷은 풀숲에서 맘에 드는 수컷을 기다리며 제 몸의 빛을 최대한으로 반짝인다. ▶ 뿐만 아니다. 애반딧불이 역시 빼놓을 수 없는 여름밤의 주인공. 금강 물속에서 애벌레 상태로 겨울을 난 애반디는 뭍으로 올라와 흙고치를 짓고 20여 일이 지나면 비로소 성충이 된다. 그리고 드디어 시작된 지상 최대의 미션. 주어진 시간은 열흘 남짓. 그 안에 짝짓기를 마쳐야 한다. 오직 이 순간만을 위해 1년의 시간을 견뎌왔기에 생애 가장 치열한 시간을 가장 찬란하고 환하게 수놓는 반딧불이. 그렇게 매년 여름, 금산의 숲엔 별이 내린다. ▶ -별건 아니지만 나라도 이렇게 울타리를 쳐줘야지, 서식지가 잘 보존될까 해서 -반딧불이 때문에 등을 꺼야 해요. 이 생활을 30년 하고 있으니... ▶ 금강에서 물고기를 낚으며 사는 양태형 씨. 그는 이곳에서 반딧불이 할아버지로 불린다. 40여 년 전 우연히 마주친 수천의 반딧불이에 매료돼 반딧불이 지킴이로 살아오고 있기 때문이다. 반딧불이가 나올 시기가 되면 서식지 부근에 울타리를 치고, 대낮처럼 밝게 켜진 가로등 때문에 반딧불이가 짝을 찾지 못할까, 동네 사람들에게 타박을 받으면서도 가로등을 끄는 일이 습관처럼 굳어버렸다. 누구도 알아주지 않고 혼자 노력해 봐야 한계가 있다는 걸 알기에 이젠 그만해야지, 하면서도 반딧불이가 찾아들면 언제 그랬냐는 듯 다시 가로등을 끄고, 사람들의 접근을 막는 반딧불이 지킴이, 양태형 씨. 그에게 반딧불이는 잘 지켜, 어린 손주가 어른이 돼서도 볼 수 있도록 해야 하는 보석에 다름 아니다. ▶ 소쩍새, 흰목물떼새, 물총새, 박새의 눈물겨운 육아일기 세상 모든 생명은 자신만의 빛을 가졌다. 금강엔 수많은 생명이 기대어 산다. 천연기념물인 수달을 비롯해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종 2급인 흰목물떼새도 금강변에 서식하는데, 흰목물떼새는 암수가 번갈아 가며 알을 품는 공동육아의 대표선수. 드디어 세상에 나온 새끼가 위험에 처하자 어미는 자신의 몸을 던진다. 모래언덕에 둥지를 지은 여름 철새 물총새는 새끼들을 위해 물속사냥을 감행하고, 수컷 소쩍새는 암컷이 새끼들을 지키는 동안 밤새 쉼 없이 먹이를 잡아다 나른다. 천적이 많은 숲속보다 사람 곁이 더 안전하다 느꼈던 걸까. 박새는 과감하게도 사람들이 오가는 길목, 어느 집 우체통에 둥지를 틀었다. ▶ 반딧불이는 오직 짝짓기를 위해 빛을 낸다. 짝짓기가 끝나고 나면 생을 마감한다. 금강의 새들은 오로지 새끼만을 위해 산다. 새끼를 키우는 동안 엄마, 아빠는 자신들을 위한 먹이를 찾지 않는다. 이러한 희생과 노력으로 삶은 이어지고 생명은 끝없이 숨을 이어간다. 고단하고 애처로우면서도 끝내 살아내고야 마는 빛나는 시간들. 충남 금산엔 세상 모든 생명이 자기만의 빛을 가지고 반짝이는 별 내린 숲이 있다. ※ 이 영상은 [UHD환경스페셜 18편 별 내린 숲(2021일 7월 22일 방송)]입니다. 일부 내용이 현재와 다를 수 있으니 참조 바랍니다. 국내 최초 환경 전문 다큐멘터리, 환경스페셜 공식채널입니다. 구독/좋아요/알림설정! ▶구독:🤍 ▶방송 다시보기(홈페이지): 🤍

[SNUE-P192] #새까만 열매가 달리는 #까마중 #용규(龍葵) #고유종 #가지과 #한해살이풀 #식용 #nigrum #shorts #생태감수성 #서울교대

395
24
1
00:01:01
08.09.2023

까마중 :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가지과의 한해살이풀. 학명 : Solanum nigrum L. 군것질이 귀한 시절에 까맣고 작은 열매를 따 먹은 기억이 있을 것이다. 지금의 아이들이야 함부로 먹지 않겠지만 적어도 50대 이상의 청장년들은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바로 그 작고 까만 열매, 즉 까마중을 말이다. 단맛이 돌기는 하나 너무 많이 먹으면 약간의 독성이 있다. 하필이면 그 많은 이름 중에 왜 까마중이었을까? 바로 까만 열매 때문이다. 까맣게 익은 열매가 스님의 머리를 닮아서 까마중이란다. 학명인 ‘nigrum’도 라틴어로 까만 열매이니 모처럼 동서양이 이름이 통하고 있다. 유럽이 원산지인 까마중의 꽃은 5월부터 피기 시작하는데 한 여름에 녹색의 열매가 달리기 시작하여 가을에 까맣게 익어가기를 예약하며 꽃이 계속 달리고 있다. 열매가 달리면서 계속 꽃을 피어내는 것은 대체로 가지과 식물들이 같은 양상을 보인다. 가지가 한참 자라면서 또 다른 가지꽃이 피듯이 까마중도 열매가 달리면서 그 꽃도 계속 피어나고 있다. 가지과 식물의 꽃 모양은 대체로 비슷하다. 까마중도 녹색의 꽃받침이 5개 있으며, 흰색의 꽃을 피우는 까마중의 꽃부리는 바퀴 모양으로 5개로 갈라지면서 옆으로 퍼지며 땅을 향해 달려 있다. 노란색의 암술 1개와 수술 5개가 있는데, 꽃밥의 아래쪽 구멍을 통해 꽃가루가 나온다. 까마중은 사실 어린 시절 군것질용 뿐만 아니라 이른 봄에 어린 잎을 따서 일단 물에 우려서 독성분을 어느 정도 빼내고 나물로도 먹기도 한다. 독성이 약간 있다는 뜻은 약재로서 사용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중국에서는 용규(龙-용 룡/葵-해바라기 규)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오래 전부터 한약재로 사용하였으며, 일본에서는 이누호오즈끼(イヌホオズキ-犬酸漿-견산장)라하는데 호오즈끼가 꽈리이므로 개꽈리 정도로 생각하고 있었던 듯하다. 출처 : 신영준 페북 다음은 조민제 페북(야사사 그룹)에서 퍼온 글입니다. 생각해 보기 위해서 퍼 왔습니다. - 식물탐구 : 미국까마중?? #까마중 : Solanum nigrum L. #미국까마중 : Solanum americanum Mill. 까마중은 고유종이고 미국까마종은 귀화종인데, 까마중은 꽃차례(열매차례)가 총상화서이고 미국까마중은 산형화서이어서 서로 구별된다는 것은 꽃쟁이들 사이에 상당히 보편적이 되었습니다. :네이버에는 까마중이 산형화서로 되어 있네요. ㅠㅠ 그런데 말입니다. 그 기준에 따라 열씸히 보일 때마다 분류를 해 보았더니 한그루에 두 종류의 화서가 나타나는 것이 보였습니다. 사진2는 총상화서, 사진3은 산형화서이고, 사진4와 사진5는 총상화서와 산형화서가 같이 있고, 사진6은 총상화서인지 산형화서인지 애매한데, 문제는 이게 모두 한그루내에 있는 있다는 것입니다. 한 동안은 중간 잡종이 생겼다고 생각을 했습니다. 그런데 계속 살펴 보니 중간 잡종이라고 보아야 할 듯한 게 너무 많이 자주 보여, 이 두종이 과연 별도의 식물로 분류될 수 있는 것인지 의심이 들었습니다. 확실히 그리고 여전히 국가표준식물목록은 두 개체를 별도의 종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사진7 참조). 그런데 서울대 식물분류학 연구실에서 장진성외 2인 명의로 편찬한 식물목록에는 두 식물을 따로 분류하지 않고 Solanum americanum Mill.이 정명이고, Solanum nigrum L.은 이명으로 분류되어 있었습니다. 참고 : Provisional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For The Korea Peninsula Flora (KPF) 🤍 더불어 세계식물목록(The Plant List, 2017)에서도 Solanum nigrum L.은 이명 처리되고 추가적으로 분류되지 아니하였습니다(사진8 참조) 현재 생각으로는 둘은 통합하여 국명은 '까마중', 학명은 Solanum americanum Mill.로 하여 분류하는 것이 맞지 않나 생각됩니다. 여러분들 생각은 어떠신지요? 여기까지 읽으신 분들은 대단하신 분들입니다. 댓글로 의견 주셔도 됩니다. ㅎ [SNUE-P192] #새까만 열매가 달리는 #까마중 #용규(龍葵) #고유종 #가지과 #한해살이풀 #식용 #nigrum #shorts #생태감수성 #서울교대

고유정-펜션 주인 통화내용 공개...방청석 술렁 / YTN

2617751
9841
2468
00:13:57
05.11.2019

더 나은 뉴스 콘텐츠 제공을 위한 일환으로 영상 미리보기 이미지(썸네일) 개선을 위한 설문을 진행합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의견을 들려주세요. 감사합니다. ※ 썸네일 설문 참여하기 🤍 ■ 진행 : 이재윤 앵커, 이승민 앵커 ■ 출연 :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 박성배 변호사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앵커] 전 남편을 살해한 뒤 시신을 잔혹하게 훼손해서 유기한 고유정의 6차 공판이 어제 제주지법에서 열렸습니다. 어제 재판에서 고유정의 계획적인 범행을 입증할 증거들을 검찰이 법정에서 제시를 했죠? [박성배] 어제 고유정 6차 공판 과정에서 검찰이 여러 가지 정황 증거들을 제시했습니다. 범행 추정 시간 전후에 펜션 주인과 통화한 내용을 증거로 제시했고요. 졸피뎀 사용 흔적을 의도적으로 감추려 했던 정황 증거도 제시합니다. 그리고 아들이 아빠랑 카레를 먹었고 엄마만 먹지 않았다는 진술도 재판 과정에서 공개했는데. 이렇게 상세한 내용이 공개된 이유는 고유정의 계획적 살인 범행을 부인하기 때문입니다. 범행 전반을 인정하게 되면 증거 조사도 상당히 간이하게, 증거를 제시하고 요지 설명에 그치지만 계획적 살인 범행을 부인하고 있기 때문에 검찰의 주장에서는 증거 능력도 확실하게 보장을 해야 되고 그 증거조사도 굉장히 상세하게 진행을 합니다. 결국 고유정이 계획적 살인 범행을 부인한 것 때문에 증거 조사 내용이 굉장히 상세하게 언론에도 보도되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앵커] 그러면 추가로 공개된 이 증거들이 상당히 유력한 증거물이 될 수 있습니까? [박성배] 계획적 살인 범행이라고 인정할 만한 여러 단서들을 공개했기 때문에 변호인 측에서 적절하게 대처를 하지 못한다면 검사 공소사실 그대로 인정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그러면 검찰이 제시한 새로운 증거에 대해서 유족 측과 그리고 고유정 측 변호인의 이야기를 들어보겠습니다. [강문혁 / 유족 법률 대리인 : 이번 6차 공판에서는 지금까지 나타나지 않았던 검찰이 확보한 여러 증거물이 나타났고 공소 사실이 충분히 입증됐습니다. 피해자의 아들의 진술이 증거조사를 통해 나타났는데요. 고유정은 계속해서 자신과 아들만 카레를 먹었지 피해자는 카레를 먹은 적 없다고 주장해 왔습니다. (6세의 아들이) 삼촌이라고 표현을 하는데요. 삼촌도 자신과 함께 카레를 먹었다. 이런 내용의 진술이 있습니다.] [남윤국 / 고유정 법률 대리인 : 평소에 하던 (인터넷 검색 등) 일반적인 행동하는 것으로 계획적이라고 하는데 계획적인 것이 어디 있습니까? 졸피뎀, 졸피뎀 어떻게 사야해? 졸피뎀 먹이면 몇시간이나 자는데? 먹이면 어떻게 되는데? 이런 것들 찾아봐야 하는거 아닌가요? 검찰에서 제출한 증거잖아요. 5월 10일부터 해서. 그냥 일반 주부잖아요.] [앵커] 고유정 측에서는 새로운 증거들이 영향력이 없다, 이렇게 주장하고 있는 것 같은데. 새로운 증거들 세 가지 중에 펜션 주인하고 통화한 내용들이 공개되면서 당시 방청석에서도 상당히 술렁일 정도로 영향이 파장이 컸다고 하더라고요. 어떤 내용이었던 건가요? [이수정] 펜션 주인이 사실은 이들이 펜션으로 들어가고 난 다음에 이게 무인텔이다 보니까 사실은 주인이 집 안에 설치된 설비들을 운영하는 방식을 가르쳐줘야지 운영을 할 수 있는 거거든요. 그러다 보니까 그 당시가 본 마지막 끝이기 때문에 밤에는 쌀쌀해서 보일러를 트는 방법을 설명을 해 주려고 여러 번 전화를 합니다. 그런 중에 처음에 8시 55분경에 펜션에 잘 들어갔다고 통화를 한 내용이 녹취가 되어 있고요. 그리고는 여러 번 시도를 하는데 전화가 통화가 안 되다가 전화가 계... (중략) ▶ 기사 원문 : 🤍 ▶ 제보 안내 : 🤍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 YTN &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고유정, 당신이 몰랐던 15가지 사실

2113138
18836
2560
00:05:59
30.12.2021

#고유정

[알쓸범잡2 부록] 세상에 완전 범죄란 없다! 범인은 반드시 잡힌다 #알쓸범잡2 EP.11

1355497
7657
397
00:20:05
25.03.2022

티빙에서 스트리밍 : 🤍 ★[일] 밤 10:50 tvN 방송★ "이것은 우리 주변의 이야기입니다" 언제, 어디서든,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범죄'로부터 당신의 일상을 지켜줄 [알아두면 쓸데있는 범죄 잡학사전 - 알쓸범잡 시즌2] #티빙에서스트리밍

[SNUE-A088] 이름만 #벌 #잎벌 #개나리잎벌 #개나리 #곤충 #폭식 #고유종 #천적 #야생벌 #shorts #생태감수성 #하루살이 #서초동 #서울교대

773
40
3
00:01:01
02.05.2023

개나리잎벌은 봄에 성충으로 나타나 #개나리 잎맥에 산란을 하면 집단적으로 부화하여 개나리 잎을 폭식하는 잎벌 종류입니다. 잎벌은 이름 그대로 애벌레가 먹이식물의 잎을 갉아먹는데, 잎 하나에 여러 마리의 애벌레들이 한꺼번에 모여서 잎을 갉아먹습니다. 개나리잎벌의 애벌레는 몸에 작은 털이 많으며 종령으로 갈수록 시꺼멓게 변합니다. 5월말이 되면 잎을 다 갉아먹고 땅속으로 들어가 번데기 상태로 월동을 하고 이듬해 4월에 성충으로 우화하여 다시 나타납니다. 개나리잎벌 애벌레의 천적은 '껍덕침노린재'입니다. 학명은 Apareophora forsythiae Sato, 1928 이고 한국 고유종입니다. 캠퍼스에는 출현에 주기성이 있는 것 같습니다. 하루살이 곤충과 같은 생활사 입니다. #잎벌 #개나리잎벌 #곤충 #폭식 #고유종 #천적 #침노린재 #shorts #생태감수성 #서초동 #서울교대 #하루살이

한국고유종 - 배가사리 산란

239
3
2
00:01:05
04.05.2017

전세계에서 대한민국에서만 볼 수있는 고유종이다. 암. 수 방정 방란을 하면 주변에 쉬리가 다가와 수정란을 먹는다 2001년에 촬영 하였다.

Назад
Что ищут прямо сейчас на
고유종 Rookie 神田 デート بطلت وخلاص قلبي جمد 水道橋 デート 旅行 vlog 어린이 금융교육 jinbocho walk 神田 カフェ 감나무 묘목 감나무 꽃 hidden flower flowers in korea 韓国のお花 Bbovely 隠れたお花 밥꽃 마중 善玉コレステロール KuranReader fleurs cachées